- 작성시간 : 2014/11/14 22:05
- 퍼머링크 : mcchae.egloos.com/11140265
- 덧글수 : 0
필요에 따라 인터넷이 되지 않는 곳에서 아이폰 테더링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좀 더 구체적인 상황을 기술해 보자면,
어느 인터넷이 되지 않는 곳에서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고 관련 필요 패키지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우분투 호스트와 스위치, 그리고 맥북프로, 아이폰 이렇게 구성이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아이폰 테더링을 이용하여 내부 유선망을 인터넷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즉 맥북프로가 와이파이 연결을 위부 WAN 처럼 이용하고
내부 이더넷을 무선 공유기의 내부망 처럼 이용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습니다.
아이폰5s에서 테더링 준비,

설정에서 개인용 핫스팟을 선택합니다.

와이파이 켜기를 선택합니다.
(USB 태더링은 인터넷 공유가 되지 않더군요...)

와이파이를 켰구요...
아이폰에 테더링을 하였습니다.

이제 인터넷 공유를 위한 작업인데,
맥북프로2014는 별도의 이더넷을 위하여 썬더볼트2이더넷 어뎁터가 필요합니다.
썬더볼트이더넷을 연결한 후 맥북프로의 설정을 엽니다.

위와 같이 와이파이는 아이폰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두번째의 썬더볼트 이더넷은 인터넷 연결을 위한 내부 스위치에 연결합니다.
(별도의 IP를 지정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심지어 수동 IP를 주어도 알아서 DHCP로 동작을 하려고 하더군요)
이제 공유를 위하여,

위와 같이 설정합니다.
연결공유 (Wi-Fi) 는 외부 연결할 부분이구요,
다음 사용에 썬더볼트 이더넷을 선택하여 내부 망을 지정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내부 공유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블루투스로도 동시에 인터넷 연결을 시킬 수 있겠군요.
인터넷 검색 결과, 무선 공유기와 똑같은 구성이 되는 포스팅을 많이 해 놓았던데,
즉, 맥북프로에 인터넷 연결의 유선 이더넷을 연결하고,
내부로 와이파이 AP 기능으로 동작하게 하려면,
위에서 연결공유는 이더넷을 선택하고,
다음사용에 와이파이를 선택합니다.
(공유기와 유사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설정 단추가 보입니다)
우선 위와 같이 설정하고,
내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우분투 호스트의 네트워크 설정을 DHCP로 지정합니다.
그러면 192.168.2.4 와 같이 내부 IP를 받아오고,
인터넷 연결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어느 분께는 도움이 되셨기를....
덧글